개발서적
-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2회독 정리개발서적 2025. 2. 9. 09:47
01. 컴퓨터 네트워크 시작하기01-1 컴퓨터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컴퓨터 네트워크란?여러 장치가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인터넷이란?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개발자가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TCP, UDP, DNS, HTTP, HTTPS 등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유지보수하는 과정에 큰 도움이 된다.01-2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살펴보기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네트워크는 노드와 간선(링크)로 구성된 그래프 자료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이해하며 된다.모든 네트워크는 노드,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 노드간 주고받는 메시지로 구성된다.노드 =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치링크 =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매체메시지 = 둘 사..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2회독 정리_3개발서적 2024. 5. 19. 17:02
08. 입출력장치8-1 장치 컨트럴러와 장치 드라이버장치 컨트롤러입출력 장치는 CPU, 메모리보다 다루기 더 까다롭다. 1. 입출력장치에는 종류가 너무나도 많다.프린터, 카메라, 키보드, 헤드셋, 스피커 등등 다양한 입출력 장치와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을 규격화하기 어렵다2. 일반적으로 CPU와 메모리의 데이터 전송률을 높지만, 입출력 장치의 데이터 전송률은 낮다.1초에 1000마디 하는 사람과 1초에 1마디 하는 사람은 제대로 대화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입출력 장치는 직접 컴퓨터에 연결하지 않고, 장치 컨트롤러라는 하드웨어를 통해 연결한다.하드 디스크를 뒤집어보면 볼 수 있는 하드웨어이다.장치 컨트롤러의 역할CPU와 입출력 장치간의 통신 중개오류 검출데이터 버퍼링이 중 데이터 버퍼링은 전송률이..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2회독 정리_2개발서적 2024. 5. 15. 16:02
05. CPU 성능 향상 기법5-1 빠른 CPU를 위한 설계 기법클럭 (Clock)컴퓨터의 모든 부품을 일사불란하게 움직 일 수 있게하는 시간 단위라고 했다.클럭 신호가 빠르게 반복되면 CPU를 비롯한 컴퓨터 부품들을 그만큼 빠른 박자에 맞춰 움직인다. 클럭 속도가 높을 수록 CPU의 명령어 사이클은 더 빠르게 반복하고 동작한다. 실제로 클럭 속도가 높은 CPU가 일반적으로 성능이 좋다. 그래서 클럭 속도는 CPU 속도 단위로 간주되기도 한다.클럭 속도는 Hz 단위로 측정한다. 1Hz 1초에 1번, 100Hz는 1초에 100번 반복됨을 의미한다.그렇다면 현대 CPU의 클럭 속도는 얼마일가?Base : 2.5GHz Max : 4.9GHz1초에 클럭이 기본적으로 25억 (2.5 x 10^9)번, 순간적으..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2회독 정리개발서적 2024. 5. 6. 13:35
01 .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1-1 실력 있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컴퓨터 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다양하게 찾을 수 있다. 단순 코드 개발뿐만이 아닌 다양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다.성능, 용량, 비용을 결정 할 수 있게 된다. 단순 입출력을 넘어서 성능, 용량, 비용까지 고려하며 개발할 수 있다.1-2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컴퓨터 구조 지식은 크게 두 가지이다.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컴퓨터는 0과 1로 표현된 정보만을 이해한다. 이 정보에는 크게 데이터와 명령어가 있다.컴퓨터가 이해하는 숫자, 문자, 이미지 등 정적인 정보를 데이터라 부른다.이러한 데이터를 움직이고 컴퓨터를 작동 시키는 정보를 명령어라 부른다.명령어가 없으면 ..